안덕근 장관 긴급대책회의 주재...현대차, 기아차 등 참석
정부 "업계 피해 최소화 적극 협의 나갈 것"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긴급대책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현대차, 기아차,만도, 현대모비스, 인팩 등 업계와 협회·연구기관들이 참석했다.
앞서 26일(현지시각) 미국 정부 포고령에 따르면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자동차는 내달 3일(현지시각)부터, 부품은 오는 5월 3일 이전에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에 따라 수입된 자동차·부품의 미국산 비율 인증 시 미국산이 아닌 부품 비중에 대해서만 25% 관세 부과한다. 부품의 경우 절차 확립 전까지 관세가 면제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6년 만에 자동차 관세 카드를 꺼내들자, 정부는 발 빠르게 움직였다. 산업부는 자동차 업계와 함께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업계의 영향과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안 장관은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로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련된다"며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대응방안을 강구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관계 부처와 함께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내달 중 마련·발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경우 대미 수출품 가운데 자동차의 비중이 커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로, 한국의 전체 자동차 수출 규모(707억8900만달러)의 절반(49.1%)가량을 차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2일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감안해 책정하는 상호 관세가 발표할 예정인 만큼, 관세 전면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업계와 긴밀하게 공조해 대응방안을 강화해 나가겠다"면서 "우리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세종=강승구기자 kang@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