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열기 검색열기

한은의 섬뜩한 경고…"시장 예상대로 집값 떨어진다면"

박상길 기자   sweatsk@
입력 2025-03-27 11:14
한은의 섬뜩한 경고…"시장 예상대로 집값 떨어진다면"
도심 아파트 밀집 지역을 바라보는 시민들.<연합뉴스>

올해 수도권 외 지역의 주택가격이 시장 예상대로 떨어질 경우 소득·자산 측면에서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한 지방 취약가구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는 작년 3월 기준 38만6000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3.2%를 차지했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원으로 전체 금융부채의 4.9%에 달했다.
고위험 가구는 금융부채 가구 가운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자산대비부채비율(DTA)도 100%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소득과 자산 측면에서 모두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고위험 가구 수와 금융부채 비중은 2023년(3.5%·6.2%)보다 떨어졌지만, 2022년(2.6%·3.8%)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소득 또는 자산 한 가지 측면에서라도 상환 능력이 부족한 가구는 모두 356만6000가구,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584조3000억원으로 추산됐다. 금융부채 가구 수의 29.7%, 전체 금융부채의 39.7%에 이른다.


특히 지방의 경우 향후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부채 보유자의 자산이 줄어 상환 고위험 가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됐다.

한은이 금리·주택가격 변동분과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분석한 결과, 작년 말 지방과 수도권의 고위험 가구 비중은 각 5.4%, 4.3%로 추정됐다. 하지만 올해 말에는 지방은 5.6%로 더 커지고 수도권은 4.0%로 떨어져 비중 차이가 1.6%포인트(p)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주택가격 추정은 건설산업연구원·주택산업연구원의 전망치 평균(전국 -0.75%·지방 -1.7%·수도권 +0.9%)이 사용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서울 등 수도권과 비교해 지방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 경기가 부진한 지역의 경우 고위험 가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부실 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과 정부 대응의 효과 등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