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해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4일부터 강남3구와 용산구를 대상으로 토허제가 확대 시행되면서 전주까지 급등세를 보였던 송파구의 경우 1년여만에 하락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3월 넷째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상승세는 계속됐으나 전주(0.25%)와 비교하면 상승폭은 절반 이하로 꺾였다. 토허제로 새롭게 묶인 강남 3구와 용산구의 가격 상승폭이 축소되며 서울 전체 상승률도 둔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토허제 대상 지역이 구 전체로 확대된 강남구(0.36%), 서초구(0.28%)는 상승세를 지속했으나 상승폭은 전주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한주 전 강남구와 서초구는 각각 0.83%, 0.69%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주 0.79%의 상승률을 기록한 송파구는 0.03% 내리며 작년 2월 둘째주 이후 1년1개월여만에 하락 전환했다. 용산구도 0.18% 올랐지만 전주(0.34%)에 비하면 상승폭이 반토막 수준이었다. 마포(3월 셋째주 0.29%→넷째주 0.21%), 성동(0.37%→0.35%), 동작(0.20%→0.17%), 광진(0.25%→0.15%) 등 주변 지역도 줄줄이 상승폭이 줄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등 일부 선호 단지에선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으나 국지적인 급매 수요와 관망 심리 확대로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축소됐다"고 밝혔다.
경기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도 보합(0.00%)을 나타냈고, 인천은 0.07% 내리며 하락폭을 확대했다. 최근 급등세를 보인 과천(0.55%)도 가격 상승폭이 3월 둘째주(0.71%)를 정점으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가격 상승폭도 전주보다 0.04%포인트 줄어든 0.03%로 집계됐다. 지방은 0.04% 하락하며 전주와 같은 낙폭을 나타냈다. 5대 광역시(-0.05%→-0.06%)와 8개도(-0.02%→0.03% ) 모두 낙폭이 확대됐다.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오르며 전주(0.01%)보다 상승폭을 소폭 키웠다. 서울(0.07%→0.06%)은 상승폭이 줄었고, 지방(-0.02%→-0.01%)은 낙폭이 줄었다. 수도권(0.04%)은 전주의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의 경우 역세권과 대단지 등 선호단지를 중심으로 상승계약이 체결되고 있으나 입주 물량 영향이 있는 일부 지역과 구축 단지에서 가격 하락세가 나타났다고 부동산원은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