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3일부터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대상에는 자동차뿐 아니라 엔진, 트랜스미션 등 자동차 부품도 포함된다.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한국으로선 큰 타격이 예상된다. 작년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로, 전체 자동차 수출의 거의 절반(49.1%)을 차지했다. 조만간 한국산 자동차에 25% 관세가 붙으면 가격 경쟁력 상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 경우 대미 수출액이 9조원 이상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 비상이 걸린 것은 당연할 것이다. 한국 자동차 산업은 수백만개의 일자리를 떠받치고 있는 경제의 주춧돌이다. 이를 감안하면 고율의 관세는 수출 감소를 넘어 국가 경제 전반을 뒤흔들 조짐이다.
그런데도 정부의 대응은 미온적이다. 반면 주요 자동차 생산국들은 발빠르게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제조업에서 자동차 산업 비중이 10%에 이르는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는 "직접적인 공격"이라고 비판하면서 보복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국회 답변에서 "모든 선택지가 당연히 검토 대상이며, 일본에 적용되지 않도록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야권에선 보복관세 등 대항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유럽연합은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면서 "미국이 며칠 내 구상할 다른 조치와 함께 이번 발표를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은 "가만히 있을 수 없다"며 강력 대응을 내비쳤다.
무역은 전쟁이다. '우리는 피해자'라며 하소연하는 태도로는 결코 국내 산업을 지킬 수 없다. 다른 나라들은 자국 이익을 위해 치열하게 싸우고 있는데, 한국 정부는 왜 전쟁터에 나서지 않고 있는가. 관세 쓰나미가 몰려오는데 언제까지 '구경꾼'으로 남을 셈인가. 더 늦기 전에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그나마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4월 중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밝힌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발표만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정부는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전략을 구체화하고, 미국과의 협의에서는 당당하게 국익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야할 것이다.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