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열기 검색열기

이재명 "北 기습공격서 서해 지킨 55용사" 추모…中 서해공정에도 "주권 침해"

한기호 기자   hkh89@
입력 2025-03-28 11:26

제10회 서해수호의날 기념식 참석 앞서 당 지도부 차원의 전향적 입장 표명
明 "北 기습 공격과 도발, 장병들 피땀으로 지킨 서해…中 불법구조물로 수난중"
박찬대 "北도발에 영토 지킨 용사 헌신"…"軍 명예 짓밟은 계엄" 尹에도 화살


이재명 "北 기습공격서 서해 지킨 55용사" 추모…中 서해공정에도 "주권 침해"
28일 오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회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서해수호 55용사를 추모하는 취지의 묵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사진>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이재명 당대표가 정부 주관 서해수호의날 기념식에 첫 참석하는 28일 "북한의 기습 공격과 도발에 맞서서 서해 바다를 수호한 영웅들을 기억한다"며 서해수호 55용사 추모에 전향적인 입장을 냈다. 최근 중국발(發) '서해공정' 의혹도 비판하며 정치권 안팎에선 '안보 우클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대전현충원에서 열리는 제10회 서해수호의날 행사 참석에 앞서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며 이처럼 서해수호의날 계기 안보 발언을 했다. 그는 "제2연평해전부터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전까지 국민의 안전한 일상을 위해 목숨 바쳐 산화한 55인의 용사들과 모든 장병들의 헌신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다. 가슴 깊이 경의와 추모의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이어 "장병들의 피땀으로 지켜낸 서해는 중국의 '(PMZ 내) 불법 구조물 설치'로 여전히 수난 중이다. 민주당은 모든 영토주권 침해 행위를 단호히 반대하고, 우리의 서해 바다를 더욱 공고하게 지켜낼 것"이라며 "국민 생명을 위해 숭고한 희생을 감내한 국가유공자들이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천안함 피격 순직 용사의 유족 등이 사과를 촉구한 '음모론'에 대한 입장은 내지 않았다.

이 대표는 "안보 정책을 두고 다양한 입장이 있을 수 있지만,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이란 원칙에 이견이 있을 수는 없다"며 "조국을 지킨 용사들의 헌신에 응답하고, 우리의 서해를 굳건한 평화의 바다로 만들어 내는 일, 현재를 사는 우리들이 해야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도 뒤이은 발언에서 "북한의 도발에 맞서 우리 영토를 지키기 위해 사력을 다한 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한다"고 밝혔다.

그는 "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전에서 누구보다 용감하게 싸운 55명의 용사를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군 장병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오늘날 우리가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다"며 "군의 명예를 드높이고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도록 민주당은 최선을 다하겠다. 더욱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흔들림 없는 평화를 지켜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박찬대 원내대표는 "군의 명예를 실추하고 안보의 토대를 허문 윤석열의 책임은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화살을 돌렸다. 그는 "군인의 명예는 으뜸가는 가치이고, 안보의 토대"라며 "윤석열은 집권 내내 군인의 명예를 짓밟았다. '채 해병 사건' 진실을 은폐하며 해병대의 자존심과 명예를 짓밟았고, 불법 비상계엄을 선포해 군대를 동원해 국회와 선관위를 침탈하게 했다"고 날을 세웠다.

나아가 "거기에다 모든 책임을 부하에게 돌리는, 군통수권자로서 최악의 태도를 보여줬다. 이런 자가 군통수권을 쥐고 있는 한 군의 명예는 찾을 길이 없고 안보는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며 "군의 명예회복과 안보를 위해서라도 윤석열은 반드시 파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헌법재판소를 향해서도 "온 국민이 윤석열의 불법 친위쿠데타를 목격했고 중대한 헌법위반 사실을 다 안다"며 "오늘 바로 선고기일 지정부터 하라"고 재차 압박했다.

한편 민주당은 김성회 대변인 논평으로도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협하는 무력도발에 맞서 장렬히 산화한 55명의 서해수호 영웅을 추모하며 그들의 숭고한 희생을 가슴 깊이 새긴다"며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산화한 호국 영웅들의 정신을 잊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대북 규탄입장 대신 "그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강한 대한민국을 위해, 전쟁 없는 한반도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혀 문재인 정부 시절의 평화론과 궤를 같이했단 해석이 나온다.

한기호기자 hkh89@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