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열기 검색열기

은행 작년 BIS 비율 15.58%…계엄 여파 등 고환율에 0.26%p↓

임성원 기자   sone@
입력 2025-03-31 06:00

보통주·기본자본비율도 하락세
"규제비율상 양호…손실흡수 제고 유도"


지난해 말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전분기 말보다 하락했다. 4분기 중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 컸다. 위험가중자산은 지난해 3분기 21조5000억원에서 4분기 36조8000억원으로 급증했다.


금융감독원이 31일 발표한 '2024년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5.58%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 말(15.84%)보다 0.26%포인트(p) 하락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보통주자본비율(13.07%)과 기본자본비율(14.37%)도 각 0.26%p, 0.28%p씩 감소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 역시 0.03%p 하락한 6.77%였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건전성 지표로 은행의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규모를 나타낸다. 현재 규제비율은 지난해 5월 경기대응완충자본 1% 부과로 상승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8.0%, 기본자본비율은 9.5%, 총자본비율은 11.5%(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 1%p 가산), 단순기본자본비율은 3.0%(은행지주는 미도입)로 한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은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웃돌며 양호한 수준이었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씨티·SC·카카오 등은 16.0%를 웃돌며 매우 안정적인 모습이었다. 반면 산업은행의 경우 13.71%로 낮았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SC·카카오·토스 등은 14% 이상을 보였지만, KB·하나·신한지주와 수출입은행·케이뱅크 등은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보통주자본비율이 전분기 말보다 하락한 곳은 SC은행(-2.81%p)·카카오뱅크(-1.27%p)·NH농협(-0.68%p) 등 12개 은행이었다. 반면 토스뱅크(+0.29%p), 케이뱅크(+0.26%p), 우리(+0.18%p), 하나(+0.05%p)는 상승했다.

금감원은 "올해 들어서도 고환율이 지속되며 경기회복 지연과 미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는 등 자본여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 여건 악화 시에도 은행이 신용공급 축소 없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임성원기자 sone@dt.co.kr

은행 작년 BIS 비율 15.58%…계엄 여파 등 고환율에 0.26%p↓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자은행+비지주은행)의 자본비율 현황. [금감원 제공]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筌랃옙 占쎄쑬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