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열기 검색열기

동국제강그룹 CVC, `1호 펀드` 결성…장남 존재감 확대 주목

양호연 기자   hyy@
입력 2025-04-01 15:09

총 675억 규모…'딥테크' 대상 중심
포스코·세아, 철강업계 사례 주목


동국제강그룹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이 첫 미래성장 벤처 펀드를 결성했다. 동국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8월 금융감독원 승인을 통해 설립 5개월만에 신기술사업금융회사로 공식 출범했다. 이는 그룹의 장기 비전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오너 4세인 장남 장선익(사진) 전무의 그룹 내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점쳐진다.


동국인베스트먼트는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본사에서 '동국 미래성장 벤처펀드 1호 결성총회'를 열고 첫 번째 펀드 출범을 공식화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펀드는 총 675억원 규모로 최소 결성 금액인 300억원을 두 배 이상 초과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주관한 'CVC 스케일업 펀드'에 위탁운용사(GP)로 선정된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설립 1년도 되지 않은 신생 벤처캐피탈로서는 이례적인 성과다.
이번 펀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 모빌리티 핵심 소재, 에너지 신사업 등 국가첨단전략산업과 초격차 프로젝트의 핵심 투자 분야와 관련된 딥테크(Deep-Tech),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주요 투자 대상으로 삼고 있다.

대표 펀드매니저는 SV인베스트먼트 전무로 바이오·헬스케어 부문 투자를 주도한 정영고 투자총괄본부장이 맡으며, 신한캐피탈 투자 금융 1본부장 출신 배창호 대표이사, 대신증권 IPO 3팀장 출신 손종민 수석심사역, 신한투자증권 운송·풍력·우주 섹터 담당 애널리스트 명지운 선임심사역 등이 핵심 운용 인력으로 참여한다.

펀드 출자자는 정책 자금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50억원, 복수의 금융기관 투자자 120억원, 동국제강그룹의 동국제강 200억원, 동국씨엠 100억원, 인터지스 50억원, 동국홀딩스 45억원, 동국인베스트먼트 1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동국제강그룹은 본격적인 행보는 철강 산업을 넘어 반도체와 바이오 등 미래 신수종 사업에 대한 투자 기반을 다지려는 전략을 본격화 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그룹의 장기 비전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장선익 전무의 리더십을 증명할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대기업에서 오너 자녀가 CVC 주요 보직에서 경영 기반을 다지며 승계 작업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장 전무는 동국제강 창업주인 장경호 명예회장의 손자이자 장세주 회장의 장남으로, 그룹 내 승계 작업의 핵심 인물로 꼽힌다. 벤처 투자 성과는 그룹 내 리더십을 강화할 뿐 아니라 외부 투자자들로부터 신뢰를 얻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동국제강그룹의 합류로 국내 주요 철강사들의 CVC 운영 사례도 돋보인다. 최근 수익성 위기를 겪는 국내 철강업계는 CVC 등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왔다. 앞서 포스코그룹은 2022년 지주사 체제로 개편하며 포스코기술투자도 기존 VC에서 CVC로 전환했다. 세아그룹도 세아홀딩스 100% 지분 출자로 세아기술투자를 설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과 미래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 투자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왔다.배창호 동국인베스트먼트 대표는 "동국인베스트먼트는 그룹이 미래 신수종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투자 인프라'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동국제강그룹과 투자 기업 간 협력을 통해 동반성장 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양호연기자 hyy@dt.co.kr





동국제강그룹 CVC, `1호 펀드` 결성…장남 존재감 확대 주목
동국제강그룹 CVC, `1호 펀드` 결성…장남 존재감 확대 주목
동국제강그룹 본사 페럼타워 전경. 동국제강그룹 제공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