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면세점 업황 부진 속 현대면세점이 시내면세점인 동대문점을 오는 7월까지 폐점한다. 무역센터점은 3개 층에서 2개 층으로 축소한다.
현대면세점은 1일 경영 효율화 작업을 이 같이 진행한다고 1일 발표했다.
동대문점과 무역센터점 등 시내면세점 2개와 인천공항 1터미널점과 2터미널점 등 4곳을 운영해 온 현대면세점은 업황 부진에 따른 실적 악화로 매장 축소와 희망퇴직 실시 등 체질 개선을 추진 중이다.
현대면세점은 "회사 설립 후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최선을 다했으나 중국 시장·소비 트렌드 변화 등 대내외 경영 환경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며 "많은 고민 끝에 면세산업 전반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경영 상황 개선과 적자 해소를 위해 경영 효율화를 추진하게 됐다"고 전했다.
현대면세점은 사업 운영의 안정성과 시장 동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오는 7월 말까지 동대문점의 특허권을 반납한다.
무역센터점은 기존 8~10층 3개 층에서 8~9층 2개 층으로 축소한다.
앞으로 현대면세점은 무역센터점과 인천공항점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의 기회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조직 효율화도 진행된다. 시내면세점 효율화에 따라 조직·인력 운영 구조의 변화가 불가피한 점을 고려해 직원 고용 안정화 차원에서 고객 접점 직무로 전환 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뒤이어 희망퇴직 등도 추진해 조직의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현대면세점 관계자는 "이번 경영 효율화는 면세산업 전반에 걸친 위기에서 사업을 정상화하고, 미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투명하고 안정적인 사업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면세점 업계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회복 속도가 더딘데다 고환율에 따른 판매 부진까지 겹치면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중국인 보따리상에 지급하는 높은 수수료,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부담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앞서 부산 시내에 있는 신세계면세점 부산점도 지난 1월 문을 닫았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