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언해온 상호 관세 부과의 구체적인 대상 국가와 범위가 나오는 날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Tarriff)의 알파벳 앞 글자를 따 'T-데이'로 부르는 것이다.
T-데이를 앞두고 국제 금값이 한때 최고치를 경신했다. 여전한 불확실성 속에 나타난 안전자산 선호 현상 때문이다. 역시 안전자산인 미 국채값도 강세다.
31일 AP통신에 따르면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3시 45분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전장 대비 0.66% 오른 온스당 3121.69달러에 거래됐다. 금값은 이날 온스당 3160달러까지 오르면서 최고 기록을 썼다.
이날 6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 역시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온스당 3149.90달러로 종가 기준 종전 최고 기록을 넘어섰다.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플라스틱·자동차 관세 25% 발표에 이어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를 예고한 가운데 투자자들이 금 거래에 몰리는 현상이 계속 관찰된다고 CNBC는 전했다.
또 다른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국채 가격도 상승하면서 수익률(금리)이 하락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전장 4.27%에서 4.24%로 떨어졌다. 국채값과 수익율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뉴욕유가도 급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2.12달러(3.06%) 급등한 배럴당 71.4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11달러(1.51%) 뛴 배럴당 74.74달러에 마무리됐다.
이날 유가의 강세는 상호 관세가 일부 윤곽을 드러내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를 겨냥해 25%의 관세 부과를 위협한 점도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형연기자 jhy@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