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이 최근 5년치 사업보고서를 정정보고한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회계 오류 심사에 착수한다.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진행한 자본시장 현안 기자 브리핑에서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회계 심사를 착수했다"고 밝혔다.
함 부원장은 "한국투자증권은 사이즈가 있기에 매출 자산 규모를 봐서 규모 비율을 살펴야 한다"며 "규모, 비율, 고의성 등을 살펴 감리로 전환하게 된다"고 말했다.
심사에서 한국투자증권이 고의로 매출을 부풀린 정황이 발견되면 회계 심사를 보다 강제성이 강한 회계 감리로 전환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감리 조사 결과에서 한국투자증권의 위반사항이 중대하거나 고의적이라고 판단되면 금감원 제재가 이뤄질 수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치 사업보고서를 최근 정정 보고했다. 내부 회계 오류로 매출(영업수익)이 약 5조7000억원 가량이 부풀려졌다.
연도별 영업수익은 △2019년 9조9236억원→9조6820억원 △2020년 15조2000억원→14조5600억원 △2021년 11조6060억원→12조4305억원 △2022년 20조8065억원→21조6689억원 △2023년 22조848억원→19조3540억원으로 조정됐다.
리테일부서와 외환(FX) 부서가 해외 투자를 위해 환전 거래를 발생하면서 손익을 매출로 잡으면서 5조7000억원이 추가로 반영됐다. 한국투자증권은 "단순 실수이며 매출과 비용이 동일 규모로 늘어났기에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실에 그친다 해도 금감원 제재는 가능하다.
지난 2021년 2월 키움증권은 2015~2019년 사업보고서 9년치 기재 정정 건으로 기관 주의와 더불어 1600만원의 제재를 받은 바 있다. 키움증권은 당시 외환거래이익 및 손실(과대계상), 미수금과 미지급금(과소계상)으로 인한 회계처리 오류를 지적받았다.
김지영기자 jy1008@dt.co.kr
한국투자증권 본사 [한국투자증권]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진행한 자본시장 현안 기자 브리핑에서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회계 심사를 착수했다"고 밝혔다.
함 부원장은 "한국투자증권은 사이즈가 있기에 매출 자산 규모를 봐서 규모 비율을 살펴야 한다"며 "규모, 비율, 고의성 등을 살펴 감리로 전환하게 된다"고 말했다.
심사에서 한국투자증권이 고의로 매출을 부풀린 정황이 발견되면 회계 심사를 보다 강제성이 강한 회계 감리로 전환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감리 조사 결과에서 한국투자증권의 위반사항이 중대하거나 고의적이라고 판단되면 금감원 제재가 이뤄질 수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치 사업보고서를 최근 정정 보고했다. 내부 회계 오류로 매출(영업수익)이 약 5조7000억원 가량이 부풀려졌다.
연도별 영업수익은 △2019년 9조9236억원→9조6820억원 △2020년 15조2000억원→14조5600억원 △2021년 11조6060억원→12조4305억원 △2022년 20조8065억원→21조6689억원 △2023년 22조848억원→19조3540억원으로 조정됐다.
리테일부서와 외환(FX) 부서가 해외 투자를 위해 환전 거래를 발생하면서 손익을 매출로 잡으면서 5조7000억원이 추가로 반영됐다. 한국투자증권은 "단순 실수이며 매출과 비용이 동일 규모로 늘어났기에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실에 그친다 해도 금감원 제재는 가능하다.
지난 2021년 2월 키움증권은 2015~2019년 사업보고서 9년치 기재 정정 건으로 기관 주의와 더불어 1600만원의 제재를 받은 바 있다. 키움증권은 당시 외환거래이익 및 손실(과대계상), 미수금과 미지급금(과소계상)으로 인한 회계처리 오류를 지적받았다.
김지영기자 jy1008@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