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관세를 두고 중국이 즉각 철회를 요구하며 반격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일을 계기로 양국의 무역전쟁은 더욱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3일 중국 상무부는 대변인 명의 담화를 내고 "미국이 주관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관세를 도출했다"며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고 비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미국이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해소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20% 추가 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이번에 34%에 달하는 상호관세까지 더해 중국은 총 54%에 달하는 관세 폭탄을 맞게 됐다.
미국 언론에서도 트럼프가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위상도 해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오히려 중국에 기회가 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트럼프의 새로운 보호주의 시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관세 부과 대상 국가들이 광범위한 보복 관세로 대응 기조를 정할 경우 국제 무역의 위축과 세계 경제의 침체, 혹은 그보다 더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복 관세와 미국을 제외한 무역협정 등으로 대응이 이어지면 직간접적으로 미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도 약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국으로서는 동맹과 무역 상대방으로서의 신뢰를 포함한 '소프트파워'의 상실은 더 큰 손실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에 대한 의구심이 커진 동맹들을 향한 중국의 구애가 이어진다면, 이들이 더는 미국의 요구에 따라 중국으로의 기술 수출 통제나 중국 기업 규제에 동참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이윤희기자 stels@dt.co.k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