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전 대표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랑하는 지지자들과 당원 동지들께서 느끼실 오늘의 고통, 실망, 불안을 함께 나누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고통스럽더라도 우리가 가야 할 길은 자유민주주의이고,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이라며 "끝이 아니다. 함께 고통을 나누고 함께 극복하자"고 말했다.
한 전 대표는 "서로를 비난 말고 모두 함께 가자. 우리 함께 대한민국을 지키고, 더 좋은 대한민국 만들자"며 "우리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의 책임을 지고 당 대표직을 사퇴했다. 이달 초 자서전 '국민이 먼저입니다'의 북콘서트와 각종 강연을 시작으로 정치 활동을 재개하며 조기 대선 출마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정치 입문 당시 스타 정치인으로 각광받았던 그는 자신에게 씌워진 '배신자 프레임'에 갇혀 지지율도 한 자릿수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다만, 대표적인 친한(친한동훈)계인 정성국 의원은 한 전 대표를 둘러싼 이러한 '배신자 프레임'에 대해 "그렇게 표현하는 건 과하다"며 "우리 보수는 이재명을 이길 수 있는 후보를 찾아냈기 때문에 배신자 프레임은 (한 전 대표의 대권 가도에) 그렇게 큰 문제가 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일축했다.
정 의원은 지난 3일 YTN라디오 '뉴스파이팅'에 출연해 "(배신자라고 생각하는 보수층은) 숫자가 일정 부분 한정돼 있다"며 "그 부분도 신경을 써야 하지만 그것 때문에 위축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산만 보더라도 한 전 대표를 '배신자'라고 외쳤던 사람 수라든지, 한 전 대표에 대한 기대감과 그에 대한 확실한 마음을 표현한 게 훨씬 컸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