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일치 尹 탄핵 인용은 상식적…생사기로 몰린 민생 속히 구조해야"
조기 대통령선거 내다보며 "'국민 갈라치기' 아닌 통합과 회복 과정 되길"
"제왕적 대통령제 분권형 개헌, 관련법 정비해 타협의 다당제로 바꾸자"
새미래민주당 초대 대표이자 상임고문인 이낙연 전 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당연한 결과다. 헌법을 수호하고 국민을 지켜야 할 대통령이 비상식적인 계엄 선포로 국민을 충격에, 국가를 혼란에 빠뜨렸다. 그가 지난해 12월3일 밤에 저지른 행위는 어떤 변명으로도 합리화 될 수 없는 일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제부터 국민의 시간, 회복의 시간이 돼야 한다. 짧게는 120여일, 길게는 2년11개월 동안 국가와 국민을 혼란과 불안에 몰아넣은 대통령이 퇴장한 지금, 정치권이 먼저 나서 갈라진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길 바란다"며 "국가의 총체적 위기를 수습하고 생사 기로에 몰린 민생을 속히 구조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국가의 총체적 위기를 수습하고 생사의 기로에 몰린 민생을 속히 구조해야 한다"며 "탄핵을 반대했던 이들은 승복하고, 찬성했던 이들도 이제는 차분해야 한다. 정치적 의견이 다른 이들을 배제하고 증오하자는 선동을 경계하자. 생각이 다른 이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함께 승복하고 내일로 나아가자"고 했다.
이 전 총리는 "이번 탄핵으로 대한민국은 10년 동안 두명의 대통령을 파면했다. 이런 역사적 불행을 통해 우리는 교훈을 얻고 미래를 재설계해야 한다"며 "난폭한 거대양당과 불안한 지도자들이 불러온 증오의 정치를 청산하고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더욱 굳건히 하는 새로운 민주공화국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헌법 개정론도 재차 꺼냈다. 그는 "개헌을 통해 제왕적 대통령제를 분권형으로, 관련법 정비를 통해 죽기살기식 양당제를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다당제로 바꾸자"며 "조기 대선도 국민을 갈라치는 것이 아니라, 통합과 회복의 과정이 되길 바란다. 거듭 강조하지만, 국민은 살아야 하고 대한민국은 발전해야 한다"고 했다.
한기호기자 hkh89@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