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9월말 금융사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현황' 발표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2024년 9월말 기준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에 따르면 작년 9월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000억원 감소했다. 금융권 총자산인 7182조7000억원의 0.8% 수준이다.
업권별로는 보험이 30조4000억원(54.3%), 은행 12조원(21.5%), 증권 7조7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5%), 여전 2조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1000억원(61.1%)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이 10조8000억원(19.4%), 아시아 3조8000억원(6.8%), 기타·복수지역이 7조1000억원(12.7%) 이었다. 만기는 올해까지 12조원(21.5%), 2030년까지 42조5000억원(76.2%) 등으로 분포됐다.
같은 기간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3000억원 중 2조6400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작년 3분기 중에도 400억원 증가하는 등 EOD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다. EOD발생 규모는 작년 3월말 2조5000억원(+0.09)에서 작년 6월말 2조6100억원(+0.11), 작년 9월말 2조6400억원(+0.04)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대선을 전후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증대하면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된 영향이다. 특히 오피스 시장은 구조적 요인(유연근무 확산)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불황이 이어지고 있다.
작년 9월말 공실률은 오피스가 20.1%, 산업시설 6.7%, 아파트 5.8%, 소매 10.3% 등이었다. 국내 금융회사는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으나,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았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투자 관리 역량을 확보해 해외 대체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며 "특이동향이 발생했거나 익스포저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이뤄지도록 적정 손실 인식 등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주형연기자 jhy@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